본문 바로가기
핫이슈/사회일반

지구를 위협하는 플라스틱 배달 용기,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

by hwansang62 2024. 9. 28.
반응형

플라스틱 용기로 인해 심각해진 환경

 

최근 가정 쓰레기의 5%를 차지하는 음식 포장·배달용기 플라스틱을 10% 줄이기 위해 환경부·업계, 다회용·경량화 용기 사용 유도 자발적 협약을 맺었습니다. 플라스틱 포장·배달 용기 폐기물량 재작년 기준 14만6천여 톤에 달합니다.

이런 음식 포장과 배달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용기는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환경 문제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폐해를 세계적으로 주목받은 사례들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1. 중국: 일회용 플라스틱 배달 용기의 급증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음식 배달 시장 중 하나로, 매일 수백만 건의 주문이 이루어집니다. 2020년에는 음식 배달 시장이 약 45억 건을 기록했으며, 이로 인해 일회용 플라스틱 용기의 사용이 급증했습니다. 베이징의 연구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19년 사이에 음식 배달을 통해 약 1억 톤 이상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플라스틱은 대부분 재활용되지 않고 소각되거나 매립되는데, 이로 인해 미세플라스틱 오염과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합니다.

2. 미국: 바다로 흘러가는 플라스틱 쓰레기

미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플라스틱 쓰레기를 배출하는 국가로, 그중 많은 양이 음식 배달과 포장에 사용된 플라스틱에서 발생합니다. 특히, 미국 서부 해안 지역은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로 흘러가 해양 생태계를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습니다. 캘리포니아의 경우, 매년 10만 마리 이상의 해양 동물들이 플라스틱에 얽히거나 이를 섭취하여 사망하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바다에서 발견된 플라스틱 쓰레기의 약 40%가 음식 포장 용기 및 관련 제품임이 밝혀졌습니다.

3. 유럽: 플라스틱 규제 강화

유럽연합(EU)은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력한 규제를 도입했습니다. 2021년, 유럽연합은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시행했으며, 여기에는 플라스틱 포크, 칼, 접시, 스트로와 같은 일회용 식기류가 포함됩니다. 이는 음식 배달과 포장 산업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대체재로 재사용 가능한 용기나 친환경 소재로의 전환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국가에서 플라스틱 사용이 줄어들지 않아 문제는 지속되고 있습니다.

4. 동남아시아: 플라스틱 쓰레기의 처리 문제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과 같은 동남아시아 국가는 플라스틱 쓰레기 처리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 지역은 음식 배달 서비스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플라스틱 쓰레기 처리 인프라는 매우 부족합니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를 배출하는 나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중 상당 부분이 음식 포장 용기에서 비롯됩니다. 플라스틱 쓰레기가 적절히 처리되지 않으면서 하천과 바다로 흘러가고, 이는 해양 생태계와 인간 건강에 큰 위협이 됩니다.

5. 한국: 플라스틱 사용 규제 강화

한국 역시 배달 산업의 성장과 함께 플라스틱 용기 사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배달 수요가 급증하면서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량도 크게 늘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는 2022년부터 플라스틱 사용 규제를 강화하고,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사용을 줄이기 위한 정책을 도입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규모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음식 배달과 포장 과정에서의 플라스틱 사용 문제는 해결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플라스틱 폐해의 결과

음식 포장과 배달에 사용된 플라스틱이 제대로 처리되지 않을 경우, 토양 오염, 해양 생태계 파괴, 기후 변화, 미세플라스틱 오염과 같은 다양한 환경적 문제가 발생합니다. 특히 플라스틱이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미세플라스틱은 먹이사슬을 통해 인간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장기적인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음식 포장과 배달 용기의 플라스틱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환경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