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추(立秋)와 처서(處暑)는 한국의 전통적인 24절기 중의 두 절기입니다. 이 절기들은 주로 농경 생활과 관련하여 계절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왜인지 몰라도 입추와 처서가 지나면 무더위가 한 풀 씩 꺾인다고 하여 입추매직, 처서매직이라고 하기도 하죠. 그런 입추와 처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입추(立秋)
의미: 입추는 '가을이 시작된다'는 의미로, 여름이 끝나고 가을이 시작되는 시점입니다.
날짜: 태양 황경이 135도에 위치할 때이며, 대체로 양력 8월 7일 또는 8일경입니다.
특징:
농사에서는 가을 수확을 준비하는 시기로 여겨집니다.
날씨는 여전히 더운 경우가 많지만, 이 시기를 기점으로 조금씩 기온이 내려가기 시작합니다.
입추가 되면 옛날 사람들은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다양한 의례를 행했습니다.
처서(處暑)
의미: 처서는 '더위가 물러간다'는 의미로, 여름 더위가 한풀 꺾이고 가을 기운이 느껴지기 시작하는 시점입니다.
날짜: 태양 황경이 150도에 위치할 때이며, 대체로 양력 8월 23일 또는 24일경입니다.
특징:
이 시기부터는 더위가 한풀 꺾이고,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바람이 불기 시작합니다.
농사에서는 벼가 익어가는 시기입니다.
옛날 사람들은 처서 이후로 본격적인 추수 준비를 시작했습니다.
처서 무렵에는 여름에 더위에 시달린 가축들이 활력을 되찾기 시작합니다.
문화적 의의
농업과 생활: 입추와 처서는 농업 중심 사회였던 옛날부터 중요한 절기였습니다. 농사 일정과 맞물려 있던 만큼, 농부들은 이 절기를 기준으로 농사 계획을 세웠습니다.
풍습과 행사: 입추와 처서를 맞이하여 다양한 의식과 행사가 열리곤 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농업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적으로 계절의 변화를 기념하는 중요한 행사였습니다.
이 두 절기는 현재에도 많은 사람들이 계절의 변화를 체감하는 데 중요한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기후 변화에 민감한 농업 분야에서는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